본문 바로가기

영화 @ theater

[더 레슬러] 어느 레슬러의 쓸쓸한 후일담


더 레슬러 (The Wrestler)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 2008년

배우와 감독의 앙상블이 이끌어낸 걸작

그러니까 이건 익숙한 이야기다. 한때 잘 나갔던 스포츠 스타가 한때의 영광을 뒤로 한 채 고독한 삶을 살아가는 이야기는 스포츠영화의 흔한 소재다. 어느 프로레슬러의 쓸쓸한 인생을 그린 <더 레슬러>도 시놉시스만 놓고 보면 여느 스포츠영화와 다를 게 없다. 그러나 결정적인 차이는 바로 배우에서 비롯된다. 익숙한 이야기임에도 <더 레슬러>가 다른 스포츠영화보다 더 깊은 감동을 전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주연배우 미키 루크 때문이다.

알려진 대로 미키 루크는 고난과 역경으로 가득한 삶을 살아왔다. 80년대를 풍미했던 청춘스타이자 섹스 심벌이었던 미키 루크는 복싱 선수 생활로 생겨난 얼굴의 상처와 잦은 성형수술의 부작용, 거기에 알코올 중독과 폭력 사건 등이 겹치면서 절망과 고독으로 점철된 삶을 살아왔다. <더 레슬러>의 주인공 랜디 ‘더 램’ 로빈슨의 삶에는 미키 루크의 인생 역경이 스며있다. 물론 애초부터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은 미키 루크를 염두에 두고 <더 레슬러>를 준비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영화는 결과적으로 미키 루크의 실제 삶을 랜디의 삶에 반영시키면서 관객의 가슴을 움직이고 있다.


<더 레슬러>는 80년대를 대표하는 헤비메탈 밴드 ‘AC/DC’의 흥겨운 음악과 함께 그 시작을 알린다. 그 시절을 화려하게 수놓았던 전설적인 레슬러 랜디 ‘더 램’ 로빈슨(미키 루크)과 관련된 신문, 잡지 기사들과 팸플릿 스크랩을 통해 영화는 전성기 시절 그가 누린 영광과 명성을 압축적으로 제시한다. 역동적이며 희망적인 분위기로 가득한 타이틀 시퀀스다. 그러나 <더 레슬러>는 더 이상 그의 지나간 과거의 영광에는 관심이 없다. 타이틀 시퀀스가 끝난 뒤 ‘20년 후’라는 자막과 함께 마주하게 되는 것은 대기실에 쓸쓸히 앉아 있는 랜디의 뒷모습뿐이다. 그 뒷모습에서 전해지는 깊은 고독과 절망이 바로 <더 레슬러>를 지배하고 있는 정서다. 물론 그것은 미키 루크의 실제 삶이기도 하다. 그래서 영화 속에서 랜디의 삶은 이내 미키 루크의 실제 삶과 오버랩되고, 그 순간 영화는 동정과 연민을 뛰어넘는 감동을 전한다.

물론 <더 레슬러>가 감동적으로 다가오는 것은 단지 미키 루크 때문만은 아니다. 절망을 안고 살아갈 수밖에 없는 밑바닥 인생들의 현실이 담겨 있고, 이를 통해 영화는 보편적인 울림을 지닌다. 영화가 랜디 뿐만 아니라 나이 든 스트리퍼 캐시디(마리사 토메이)에게도 큰 비중을 두고 있는 것은 그런 이유에서다. 둘은 육체를 이용해 하루하루를 살아간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 인물들이다. 랜디가 온몸이 상처투성이가 돼도 아랑곳하지 않고 레슬링을 하듯, 캐시디는 오직 돈을 벌기 위해 모든 치부를 드러내고 온몸으로 스트립 댄스를 춘다. 그들에게 삶을 영위할 수단은 오직 자신들의 육체뿐이고, 육체를 잃는 순간 그들은 자신의 삶도 잃어버릴 수밖에 없다. 그래서 랜디는 의사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살아있음을 증명받기 위해 링 위에 오를 수밖에 없고, 캐시디 역시 비슷한 처지의 랜디에게서 자연스럽게 느끼게 되는 사랑의 감정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스트리퍼로서의 삶에 충실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충분히 신파가 될 수 있는 이야기지만 <더 레슬러>는 이 둘의 이야기를 오히려 담담하게만 바라본다. 그러한 태도로 인해 영화의 울림은 더 큰 힘을 지닌다. 인상적인 것 중 하나는 유난히 <더 레슬러>에는 인물들의 뒷모습을 바라보는 장면이 많다는 것이다. 영화는 시작부터 랜디의 뒷모습만을 쫓아다니며 쓸쓸한 분위기로 영화를 채워나간다. 인물들을 무심히 바라볼 뿐인데도 <더 레슬러>는 신기할 정도로 관객들의 마음을 이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이러한 연출을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이 선보이고 있다는 사실이다.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은 <파이> <레퀴엠> <천년을 흐르는 사랑>을 통해 자신만의 독특하고 감각적인 영상 미학을 선보여 영화적 재능을 인정받은 감독이다. 그러나 <더 레슬러>에서 그는 이전까지의 작품들에서 선보인 연출 스타일 대신 기교를 배제한 자연스러운 연출로 영화를 채워나가고 있다. 그의 필모그래피를 놓고 봤을 때 <더 레슬러>는 분명 이질적인 느낌의 작품임에 틀림없다.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은 <더 레슬러>를 통해 자신이 사실적인 연출에도 재능이 있음을 증명해 보인다. 그래서 <더 레슬러>는 미키 루크의 재기작인 동시에 <천년을 흐르는 사랑>으로 평단과 관객으로부터 외면 받았던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의 부활을 알리는 작품처럼 보이기도 한다. <더 레슬러>는 배우와 감독의 앙상블이 있었기에 가능한 걸작인 것이다.


더 이상 전성기 시절의 영광을 누릴 수 없는 랜디는 그 시절에 유행했던 헤비메탈과 하드 록을 들으며, 80년대에 나온 닌텐도의 비디오게임기 패미콤으로 자신이 등장하는 레슬링 게임을 하며 그 시절에 대한 진한 향수를 드러낸다. 랜디가 커트 코베인 때문에 화려했던 80년대 음악들을 더 이상 들을 수 없게 됐다고 투정부리는 순간, 거기에는 ‘그때 그 시절’은 추억이 돼버렸다는 것을 알면서도 그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한 인간의 슬픈 뒷모습이 있다. 그러나 현실은 호락호락하지가 않다. 결국 랜디는 현실 속에서 희망을 찾지 못하고 다시 링 위에서의 삶을 선택한다. 아직 자신이 죽지 않았음을, 여전히 살아 숨 쉬고 있음을 증명받기 위해서. 비극적이지만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현실. <더 레슬러>는 그 현실을 무덤덤하게 바라보며 관객의 가슴 속에 깊은 여운을 아로새기고 있다.

* 조이씨네에 올린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