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가시'의 첫 장면은 서로 다른 방향을 본 체 이야기를 나누는 두 부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죽으러 간다는 미호를 말리는 시마오의 덤덤한 말투와 10년 동안 계속된 남편에 대한 불륜에 대해 침착한 분위기로 말하는 미호의 목소리는 방 안이라는 한정된 공간 속에서 묘한 긴장감을 느끼게 한다. 좁은 공간에서 긴장감을 노출하던 두 남녀는 방을 나와 바깥으로 이동하면서 미호의 억압된 분노가 분출된다. 바깥으로 나가려는 미호를 말리는 시마오와 그의 손길을 뿌리치면서 나가려는 미호의 모습이 계속되면서 영화는 억압된 긴장감을 표출시킨다.
이런 두 남녀의 갈등은 미호의 두통을 통해 잠시나마 해결되는 듯이 보인다. 두통으로 고통스러워 하던 미호가 정신을 차리더니 초반부의 공격적인 분위기가 사라지고 남편과 자식들에게 미소로 대하는 현모양처의 모습으로 되돌아오기 때문이다. 미호의 고통을 지켜보던 시마오는 그녀가 제정신을 차린 후 온화한 모습으로 그를 대하자 안심하면서 출판사를 찾아가지만 사정이 있어 예정시간을 넘겨 집에 도착하자 미호가 집에서 사라졌음을 깨닫는다. 아내를 애타게 찾던 시마오는 이웃사람을 통해 미호가 자신의 집 뒷켠에 있다는 사실을 알아낸다. 시마오는 미호에게 안부를 묻지만 미호는 좀전까지 보여주었던 다정한 미소는 온데간데 없이 의심과 분노로 가득찬 여인의 모습을 보여준다. 남편의 불륜을 10년동안 억누른 체 살아왔던 미호는 이 때부터 남편에 대한 의심으로 가득찬 체 시마오를 경계한다. 미호의 의부증은 점점 그녀의 자아를 두 개로 분리시킨다. 남편의 불륜상대에 대한 호기심과 자신을 배신한 남편에 대한 경계로 가득찬 미호가 언제 그랬냐는듯이 시마오와 자신의 아이들에게 미소짓는 모습은 관객으로 하여금 혼란스런 심정과 공포스러운 느낌을 전해준다.
흥미로운 것은 미호를 대하는 시마오의 모습이다. 미호의 계속되는 의구심을 씻기 위해 그녀의 명령을 따르는 방식이 마치 군대에서 상사의 명령에 따르는 병사와 같은 느낌이 든다는 점이 특징이다. 미호가 자신을 향해 물을 뿌려달라고 명령하자 군대의 호칭과 이름을 말하며 그녀의 명령을 따르는 장면이라든지 친정집을 찾은 미호의 명령대로 행동하는 시마오의 모습이 그 예라 할 수 있겠다. 영화는 중간마다 시마오가 특공대로 근무하던 곳의 풍경을 담은 장면을 보여주고 있는데 시마오의 또 다른 내면세계를 이미지를 통해 표현하면서 군대의 명령방식에 익숙해져 있는 인간의 나약한 모습을 보여주려는 의도가 아닌가 생각한다. 또한 미호와 시마오의 모습은 마치 김기영의 '하녀'같은 작품처럼 기존의 가부장적인 부부의 뒤바뀐 위치와 모습을 인상적으로 전달한다. 남자의 명령에 맞춰 자신을 희생하며 살아오던 여성이었던 미호는 남편인 시마오의 불륜을 끊임없이 공격하면서 시마오를 명령하게 되며, 마시오는 자신의 죄에 대한 죄책감으로 그녀의 명령에 복종한다.
부인인 미호의 명령에 따라 아무말 없이 행하는 시마오는 점점 계속되는 부인의 행동을 견디지 못해 가끔씩 분노를 터트린다. 계속되는 아내의 명령과 모욕을 참아오던 시마오는 열린 공간을 향해 악을 쓰며 소리를 지른뒤 철로를 향해 뛰어가 자신의 목숨을 끊으려고 하기까지 한다. 이런 폭발적인 분노의 표출은 충격과 공포를 안겨주지만 이러한 갈등의 폭발이 가까스로 해결된 뒤에도 다시 시마오와 미호의 행동의 악순환이 계속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결국 시마오는 체념에 가까운 인내로 그녀의 종잡을 수 없는 의부증을 받아들이려고 한다. 미호의 회복을 위해 시마오는 자신의 가족을 데리고 장소를 이동해 과거의 잘못된 과거를 지우려고 한다. 하지만 미호의 계속되는 의심과 분노는 장소를 옮겨다녀도 계속된다. '죽음의 가시'가 무서운 점은 집이라는 공간을 떠나 다른 곳으로 이동해도 두 남녀의 갈등이 계속된다는 점이다. 평소에는 자상하고 예의바른 여성의 모습을 보여주다가도 어느새 불륜상대에 대한 의심과 남편에 대한 분노가 폭발하면서 성격이 바뀌어 버리는 미호의 모습과 자신이 저지른 원죄 때문에 부인의 분노를 잠자코 지켜보고 그녀의 명령대로 따르는 시마오의 모습은 끝없이 계속되는 악몽같이 느껴진다.
결국 미호의 분노는 시마오의 불륜상대인 쿠니코가 집에 찾아 오면서 그 정점을 이루게 된다. 선물을 전해주러 왔다는 쿠니코가 오자 시마오는 미호에게 들키지 않도록 쿠니코를 보내려 하지만 그녀를 본 미호는 쿠니코에 대한 분노를 터트리기 시작한다. 마시오는 자신이 아내를 사랑하고 있다는 입장을 미호에게 증명하기 위해 그녀의 명령대로 따른다. 미호의 명령에 따라 쿠니코의 뺨을 때리고 다리를 붙잡으라는 명령에 군말없이 행동하는 시마오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쿠니코에 억압된 분노를 터트린 미호는 정신병원에 갇히게 되지만 그녀의 분열된 자아는 계속해서 시마오를 괴롭힌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은 영화의 첫 장면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형태의 쇼트를 보여주고 있는데 첫 장면에서 두 남녀가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며 건조한 대화를 나누었다면 마지막 장면에서는 두 사람 모두 카메라의 정면을 바라보면서 이야기를 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수면요법을 취하기 위해 간호사가 커튼을 치고 조명을 끄지만 이 치료의 대상은 아내인 정신병자인 미호만이 아닌 두 남녀 모두인 것처럼 느껴진다. 이제는 괜찮아질거라는 남편의 위로와 달리 환한 조명이 어두어지면서 암울하게 끝나는 마지막 엔딩은 열린 결말을 통해 두 남녀의 모습이 결코 순탄치 않을 것임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