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

[책] 콘트라베이스 - 파트리크 쥐스킨트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방안)

잠깐만 기다려 보세요.... 잠깐만..... 어디보자. 여기 어딘가에 있는데. 아, 여기 있네요.



여기 손에 수줍게 검지손가락을 대고 있는 사람이 누군지 아세요? 어디선가 본 적있는 얼굴이라고요? 꽤나 오래된 흑백사진인것으로 보아 나이 좀 드신분 같죠? 아, 저기 저 분이 맞추셨네요. '파트리크 쥐스킨트'입니다. 그 사람이 누구냐고요? 이름은 들어 본 것 같은데명확히 안 떠오르시나 보네요. <좀머씨 이야기>와 <향수>의 작가죠. 유명하죠. 국내에서도 꽤나 이름 날렸죠. <좀머씨 이야기>가 유행할 때니까, 그게 벌써 15년 전이네요. 아, 3년전에 <향수>가 영화로 개봉되면서 다시 베스트셀러에 이름을 올렸었죠. 아, 이제 다들 생각나시나 보네요. 부끄러워 하실 필요 없어요. 저도 작가 이름 보고 '누구지?' 했다가 책 날개에 달린 작가 소개 보고 '아, 그 사람이구나!' 했으니까요.

오늘 이야기 하고자 하는 책이 바로 이 사람이 쓴 책입니다. 제목은 <콘트라베이스>이죠. 쥐스킨트를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한 번씩은 다들 읽어보셨을 겁니다. 두께도 두껍지 않고 크기도 작고 가볍게 들고 다니면서 보기에 좋은 크기죠. 그러고 보니 <좀머씨 이야기>, <깊이에의 강요> 그리고 이 책까지 모두 얇고 작은 책이 공통점이네요.

허허, 이렇게 독서 후기를 쓰는건 처음이네요. 제가 잘 말하고 있나요? 이렇게 이야기 하고 있는 건 이 책의 형식을 따라해 보고 있는거에요. 문득 따라해 보고 싶었거든요. 생각보다 재밌긴 하군요. 이 독서 후기가 끌날 때까지 저 혼자 떠들겁니다. 그리 길진 않으니 걱정하진 마세요. 귀찮으신 분들은 스크롤 주욱 내리셔도 돼요. 그런걸로 상처 받거나 하진 않습니다. 쓸데 없는 말이 길어지네요. 본격적으로 책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죠. 이 책은 모노드라마에요. 한 사람이 나와서 끝까지 혼자 떠듭니다. 마치 지금의 저처럼요. 연극을 하기 위해 만들어진 희극이죠. 즉, 연극 대본이라 할 수 있는 거에요. 그래서 연극 보는걸 좋아하시는 분들은 아마 즐겁게 읽으실 수 있으실 겁니다. 머릿속에서 연극이 펼쳐지니까요. 실례지만 잠깐 좀 마시겠습니다.....

(맥주를 조금 마신다.)

... 작가가 독일인인데다, 책에서도 주인공이 말하는 틈틈히 맥주를 마시느라 저도 안 마시곤 못 베기겠더군요. 어디까지 이야기를 했던가요. 아, 모노드라마. 거기까지 이야기 했군요. 한 극단의 제의로 써진 이 작품으로 쥐스킨트는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어요. 당시에 <희곡이자 문학 작품으로서 우리 시대 최고의 작품>이라고 알려졌다는군요. 전 우매한 독자라서 그 정도로 대단한 작품이라는 건 잘 모르겠어요. 원래 저런 수식어들은 과장이 잔뜩 들어가 있잖아요. 그래도 확실히 멋진 작품인건 동의합니다. 암요.

이 책의 주인공은 콘트라베이스 연주자 입니다. 무려 국립오케스트라에서 소속되어 있는 단원이지요. 콘트라베이스의 중요성을 힘주어 이야기 하면서 또 모멸차게 비난하고 정신이 하나도 없지요. 방음이 된 좁은 방안에서 생활하면서 35살의 나이로 20대의 젊은 성악가 세라를 짝사랑하는 소시민입니다. 콘트라베이스 연주자는 소시민과 썩 어울리지요. 제1바이올린 연주자나 지휘자들이 소시민이라고 하는 건 조금 웃기잖아요. 드라마를 보더라도 언제나 주인공은 피아노 연주자 혹은 지휘자 혹은 바이올린 연주자 이잖아요. 오케스트라 제일 뒷줄 오른쪽에 앉아서 연주하는 콘트라베이스는 중요하지만 조명을 받진 못하죠. 한 공연에서 받는 독주자나 지휘자가 받는 시선이 콘트라베이스 연주자가 평생 연주하면서 받는 시선보다 많을 것이라는 이야기엔 마냥 웃을 순 없더라고요. 콘트라베이스는 주목 받을 수가 없어요. 기본적으로 튀면 안되는 악기이지요. 반쪽 북인 팀파니 보다도 주목을 받을 수 없다고 한탄하는 그의 주장에서 우리는 우리 대다수의 소시민의 모습을 보게 됩니다. 튀진 않지만 묵묵히 자신의 자리에서 자신의 역할을 해 나가는 콘트라베이스의 주자들이죠. 그리고 세상의 시선을 받는 건 지휘자와 제1바이올린주자라는 겁니다. 오케스트라에서도 1등만 쳐다보는 더러운 세상....

(한 모금 마신다.)

... 제 이야기도 아닌데 덩달아 흥분하게 되는군요. 저음의 울림은 방음벽도 관통해 나가는 힘이 있어요. 하지만 그게 전부인게 문제인거죠. 주인공은 자신의 음악적 신분의 한계에만 분개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에 있어서도 문제가 있어요. 그 문제가 자신이 콘트라베이스 연주자라는 것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이 또 답답하네요. 짝사랑하는 메조 소프라노 그녀에게 콘트라베이스는 반주도 해줄 수 없는 악기에 불과하거든요. 심지어 눈도 마주치지 못한 그는 오늘 밤 공연에서 음악을 연주하기 시작하기 전 조용한 그 순간에 "세라!"라고 외칠 마음에 준비를 하고 문을 나섰네요. 과연 그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자신의 안정적인 직업을 포기하고 정말로 외쳤을지도 모르고 늘 그래왔던 것처럼 목에서 소리를 다시 삼키고 연주를 시작했을지도 모르죠. 개인적으론 소리를 외쳤길 바래요. 어차피 후회할 일이라면 해보고 후회하는 것이 낫다는 말도 있잖아요.

국내에선 명계남씨가 이 작품을 무대에 올린 적이 있어요. 그것도 포스터가 어디 있을텐데, 잠깐만 기다려 봐요. 이게 오래 되어서 찾기가 힘드네요. 아, 여깄군요.



명계남씨 표정이 예술이죠. 콘트라베이스에 혼을 불어넣어 연주하는 모습이 정말 예술가의 모습이에요. 2시간 내내 혼자서 떠들어야 하는 모노드라마 성격상 참으로 소화해 내기 힘들텐데.. 어떻게 무대에 올려놨었는지 못 본 게 아쉽네요. 그 땐 제가 이 작품을 몰랐으니 어쩔 수 없죠. 국내에 또 다시 누군가가 이 작품을 올린다면 구경가야 겠어요. 어이쿠, 짧게 이야기 한다는 것이 조금 길어졌네요. 그럼 전 이만 이쯤에서 퇴장하도록 하지요. 퇴장할 땐 음악이 흐르는 것이 그럴듯 하죠. 이 책의 주인공과 비슷하게 전 동영상을 걸어놓고 가겠습니다. 곡명은 같아요. 슈베르트의 피아노,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를 위한 가장조 5중주곡으로 1919년, 그의 나이 스물둘에, 슈타이어에 사는 어느 채광업자의 청탁을 받고 쓴 작품이라는 군요.




... 이제 정말 가보겠습니다. 시간이 되고 기회가 되시는 분은 가볍게 연극을 본다 생각하시고 읽어보세요. 즐거운 시간이 될거에요. 배경음악으로 이 음악을 틀어놓는 것도 좋겠네요. 그럼 전 이만.